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els란 /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유용한 정보

by 장뱀 2017. 6. 2. 23:54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장뱀입니다^^






한 시대가 갔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ELS에 많은 분들이 투자를 합니다. 창구의 직원들이 "주식보다는 안전하고, 적금에 비해 2-3배의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고 감언이설을 늘어 놓으니 적금만으로는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 많은 분들이 그 말에 넘어갑니다.


표현이 조금 격했나요..?


하지만 이게 사실입니다. els에 대해 말하기 이전에 금융사의 기본적인 원리만 집고 넘어가볼게요. 


(이렇게 현혹합니다..ㅠ)



여러분들에게 ELS, ETF등의 투자상품을 권하는 창구 직원들은 여러분들의 돈을 불려드리기 위해 있는 금융 전문가가 아닙니다. 영업사원에 가깝죠. 직원들의 인센티브는 여러분들의 돈을 얼마나 불려드리느냐로 결정되는게 아니라 얼만큼의 규모로 가입하느냐로 결정됩니다. 


또한 은행과 증권사는 '기업'입니다. 게다가 대부분은 굉장히 우량한 기업이죠. 그만큼 많은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그 수익은 다 어디서 오는걸까요? 은행은 예대마진이라 쳐도, 증권사는요?? 여러분들의 주머니에서 나옵니다.


조금 공부해서 직접 주식을 하시는 게 낫습니다. 

직접 주식을 하거나 투자를 하시면 회사의 대표인거고, 간접적으로 하면 회사의 직원인 셈입니다. 하는 일이 비슷하더라도 수익이 어느쪽으로 많이 가는지는 우리 모두가 봐왔습니다. 



이상, 개인적인 생각이었고요

그래도 금융공부, 투자공부를 할 시간에 본업에 집중하시는 게 더 나으신 분들도 있으니 ELS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ls란 ?

'equity-linked securities' 의 약자로,  주가연계증권이라 불립니다. 

알려진 운용방식은 자산을 우량채권에 투자하여 원금을 보존하고 일부를 주가지수 옵션 등 금융파생 상품에 투자해 고수익을 노리는 방식입니다.


채권투자로 안정성을 확보한다고는 하지만, 원금손실의 위험은 당연히 있습니다. 그리고 채권투자하기에 적절한 시기인지도 중요한 부분이겠죠. 물론 더 중요한 부분은 세부적인 선택사항에 있습니다. ELS도 종류가 굉장히 많으니까요.


ELS의 선택 흐름은 보통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자산의 선택 > 만기/조기 상황주기 선택 > 상환조건 선택 > 수익지금방법 선택 


1. 기초자산의 선택

 주식종목과 같은 개별자산 혹은 주가지수연동 방식을 선택하고 상품을 구성합니다. 보통 이 과정에서 수익성과 안정성이 달라진다고 얘기합니다.


2. 만기-조기상환주기 선택

 주기가 길수록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투자기간과 수익률을 본인의 상황에 적합하게 고르시면 됩니다. 


3. 상환조건 선택

 일정 손실 이상이 일어나면 상환받을 권리가 생깁니다. 그 조건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4. 수익지급방법 선택

 보통 일시지급식과 월지급식으로 나뉩니다. 




제가 ELS를 조금 폄하했는데, els로도 돈을 버는 사람들은 물론 있습니다. 큰 수익률은 아니었겠지만요. 

그래도 한 김에 한 마디 더하자면 선물, 옵션 같은 파생상품은 엥간하면 신경도 안쓰시는 게 좋습니다. ELS가 완전파생상품이라 하긴 좀 그렇지만 그래도 개미투자자의 힘으로 어찌할 수 있는 시장은 아닙니다. 


직접투자가 어려우시다면 차라리 펀드를 추천하고 싶네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